위의 이미지는 ASSIMP 라이브러리에서 3D 포맷의 파일을 읽어드린 후 라이브러리
내부에서 파일을 저장하는 내부적인 구조입니다.
ASSIMP 라이브러리의 장점으로 크게 2가지를 꼽을 수 있습니다.
- 어떤 포맷의 3D 파일을 로드하더라도 위의 구조로 변형해준다.
즉 내가 로드하는 포맷의 구조가 어떻게 되있는지 몰라도 위의 구조만 숙지하고
있으면 내가 원하는 파일을 다룰 수 있다. - 구조가 직관적이다.
즉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또 한가지 장점으로 꼽을 수 있는것은 오픈소스이므로 모든 소스코드가 공개되어있고,
관련 자료를 찾는 것도 무척 쉽습니다. 그렇기에 게임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OpenGL이나 DirectX를 사용하시는 분께는 ASSIMP를 사용하는 것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관련 자료를 찾는 것도 무척 쉽습니다. 그렇기에 게임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OpenGL이나 DirectX를 사용하시는 분께는 ASSIMP를 사용하는 것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ASSIMP 라이브러리에 대한 소개는 이정도에서 마치고 다음 게시글부터는 실제로 파일을 불러오고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버텍스 등...)에 대해 게시하려고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